Do It Yourself

우리나라 뇌은행 현주소는? (+뇌조직, 뇌세포, 체액 전담 분양 은행) 본문

카테고리 없음

우리나라 뇌은행 현주소는? (+뇌조직, 뇌세포, 체액 전담 분양 은행)

☺☻☺

오늘은 뇌은행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점차 증가되고 있는 치매, 뇌졸증이나 우울증 등과 같은 뇌질환으로 인하여, 뇌질환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뇌연구를 하려면 뇌 조직, 뇌세포, 뇌체액 등이 필요하게 되는데요. 이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도 7월 12일부터 "뇌은행 지정제도"를 시행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뇌연구에 필요한 실제 사람의 "뇌"

뇌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말그대로 사람의 머리에 있는 "뇌"가 필요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뇌를 확보하려면  생명윤리법에 정해진 12개 기관만이 인체유래물*을 수집하고 관리할 수 있는 상황입니다.

인체의-장기
인체의 장기, 인체유래물 중 뇌에 대하여

하지만 이 뇌는 다른 인체유래물과는 다르게 특수한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개인정보가 포함되고 있는 장기이며 윤리적 측면으로도 관리가 중요한 것인데요. 미국 같은 경우에는 뇌조직을 지정된병원에서만 보관이 가능하고 표준화된 정보도 익명화하여 관리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유럽연합도 뇌연구와 관련하여서는 비밀보장, 데이터보호를 중요하게 두고, 총 19개의 뇌은행이 있다고 합니다.


*인체유래물이란?

- 인체에서 나온 조직, 세포, 혈액 등을 말합니다. 인체의 모든 자원을 모으는 곳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떻게 진행될까요?

 
우리나라 뇌은행 현주소는?

그동안은 낮은 기증률과 윤리적 문제 등으로 인간의 뇌 대신에 동물의 뇌가 활용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뇌와 동물의 뇌는 구조적, 기능적 등 매우 다르다는 것인데요. 이러한 문제점으로 뇌질환치료법이 더디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4년에 처음 한국뇌연구원 산하에 한국뇌은행이 설립되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유문화와 시신을 훼손하면 안된다는 장례문화가 있어 뇌기증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전문적인 뇌은행이 많아질 수록 뇌기증을 하는 것에 대한 인식개선이 되면서 보다 활성화 되겠지요.


뇌은행 지정제도

뇌연구에-필요한-뇌
뇌연구에 필요한 뇌

우리나라도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인체유래물 은행이나 시체 제공 허가를 받은 기관 중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기관을 뇌은행으로 지정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하였는데요. 뇌연구 촉진법 시행령에는 뇌은행의 지정요건과 절차, 뇌연구자원 관리 등에 관한 세부적은 사항이 규정되었다고 합니다. (7월 12일부터 시행)

 

현재 지정된 뇌은행은? 8곳

  1. 뇌연구원
  2. 가톨릭대
  3. 강원대병원
  4. 서울아산병원
  5. 세브란스병원
  6. 인제대
  7. 전남대병원
  8. 충남대병원

현재 지정된 치매 뇌은행은? 4곳

  1. 서울대병원
  2. 삼성서울병원
  3. 부산대병원
  4. 명지대병원 

 

뇌은행에서는 무슨일을 하나요?

뇌는 인체조직에서 1.3kg 정도의 장기로, 가장 많은 비밀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뇌은행은 치매, 자폐증, 뇌전증, 우울증 등의 뇌질환을 앓는 환자들과 가족 또는 일반인으로부터 뇌를 기증받아 보존하였다가 이를 필요로 하는 연구자들에게 분양하는 기관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2015년 뇌질환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이 11조3000억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이 비용은 2025년에는 약 33조8000억원으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는데요. 이에 따라 뇌연구 수요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뇌연구에 투입된 예산은 2020년 한 해만 예산 1822억원과 연구자 5000여명이 투입되었다고 합니다.

 

뇌은행 지정제도 시행

뇌의-형상을-하고-있는-호두열매
뇌와 비슷한 형상의 호두 열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12일부터 뇌은행 지정제도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뇌연구 촉진법 시행령'이 지난달 21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과기정통부는 뇌은행 지정을 위해 기관의 신청을 받는다. 뇌은행으로 지정받으려는 기관은 시행령에서 정하는 기준을 충족하는 증빙서류를 과기정통부에 제출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현재 뇌은행 지정제도를 시행한다고 과기부에서 발표를 하였는데요. 인체유래물 은행이나 시체 제공 허가를 받은 기관 중에서 일정기준을 충족하면 뇌은행으로 지정하여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뇌은행을 지정할 때에는 신청기관의 생명윤리위원회(IRB) 설치여부와 뇌연구 자원관리 지침 등도 고려되는 만큼 철처히 검토되어야 할 것입니다.

 

생명윤리위원회란(IRB) 무엇이고 설치 필요성은?

사람 대상의 임상연구에 대한 윤리적 심의를 말합니다. 연구 대상자의 안전과 권리를 보호하기위해 임상연구를 원하는 기업, 연구소, 병원 등은 의무적으로 연구 심의를 거쳐야 합니다.

 

뇌기증 하는 방법 알아보기<<

 

[해외 뇌은행 홈페이지]

번호국가명은행명웹사이트

번호 국가명 은행명 홈페이지
1 오스트리아 Das Klinische Institut für Neurologie(KIN) https://www.meduniwien.ac.at/hp/kin
2 프랑스 Hospices Civils de Lyon http://www.chu-lyon.fr/web
3 독일 Neurobiobank München http://www.neuropathologie.med.uni-muenchen.de/neurobiobank_muenchen
4 University of Wuerzburg https://www.uni-wuerzburg.de/en/ueber/university
5 헝가리 Human Brain Tissue Bank
(Semmelweis University)
http://semmelweis.hu/hbtb
6 네덜란드 Netherlands Brain Bank http://www.brainbank.nl
7 영국 Multiple Sclerosis and Parkinson’s Tissue Bank http://www.imperial.ac.uk/medicine/multiple-sclerosis-and-parkinsons-tissue-bank
8 MRC London Neurodegenerative Diseases
Brain Bank
http://www.kcl.ac.uk/ioppn/depts/bcn/Our-research/Neurodegeneration/brain-bank.aspx
9 Queens Square Brain Bank
for Neurological Disorders
https://www.ucl.ac.uk/brainbank
10 Edinburgh Brain and Tissue Banks https://www.wiki.ed.ac.uk/display/edinburghbrainbanks/
11 이탈리아 Istituto Nazionale Neurologico Carlo Besta http://www.istituto-besta.it
12 Bologna University http://www.unibo.it/it
13 필란드 University of Kuopio http://www.uef.fi/fi/etusivu
14 그리스 Ational and Kapodistrian University of Athens http://www.uoa.gr
15 스웨덴 Karolinska Brain Bank http://ki.se/en/nvs/the-brain-bank-at-karolinska-institutet

 

당신만 모르는 정보

✔ 당신이 잠을 자지 못하는 이유, 불면증 예방에 좋은 8가지 음식과 방법

✔ 저혈압 원인과 증상, 종류 및 치료방법

✔ 홍잠 효능 성분 부작용 섭취량 파킨슨

✔ 코로나 백신 부작용 - 병원 가야할 때 전조증상 (심근염, 심낭염, 혈전증, 길랑-바레 증후군 의심증상)

✔ 폐경 전조증상 관리, 갱년기 현명하게 대처하는 방법

해당 블로그에서 발행되는 콘텐츠 중 일부 글에는 제휴 및 홍보 관련 링크가 포함될 수 있으며,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일정액의 수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