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 It Yourself
집에서 인터넷으로 무료 발급 가능한 가족관계등록, 기본관계, 혼인관계, 입양관계, 친양자입양관계 증명서 발급방법 본문
우리나라 법원에서는 인터넷으로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것도 무료 입니다~
동사무소나 시청, 구청, 무인발급기에 가면 500~1000원을 발급비용 수수료로 받는답니다.
아마 용지값, 잉크값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집에 프린터와 종이만 있으면 증명서를 발급 받을 수 있다니 아주 좋지요.
프린터가 없다면 컴퓨터만 있으면 PDF로 다운로드 받아 사용처에 메일로 보내면 됩니다.
하지만, 증명서는 중요한 서류이니 반드시 개인정보에 대해 확인하신 후에 신뢰할 수 있는 기관에만 입증자료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이제 증명서 발급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준비물은 공인인증서 입니다.
▶▶ 새마을금고 출자금 통장 만들면 좋은 장점, 단점 6가지 - 비과세 파킹통장으로~ 추천
먼저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에 접속해보겠습니다. (https://efamily.scourt.go.kr)
네이버, 다음, 구글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을 검색하시고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홈페이지에 접속됩니다.
증명서 발급의 가족관계증명서를 선택합니다.
신청인 정보 조회화면에서 약관 동의 및 개인정보를 기입합니다.
조회를 하면,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하라고 합니다.
보안프로그램 설치 후 공인인증서로 로그인을 합니다.
다음과 같이 가족관계등록부 열람 또는 발급을 신청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옵니다.
발급 대상자, 증명서 종류를 선택해주세요.
- 가족관계증명서
- 기본증명서
- 혼인관계증명서
- 입양관계증명서
- 친양자입양관계증명서
증명서 종류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하나씩 체크를 눌러보면 일반증명서, 상세증명서, 특정증명서 각각의 설명이 밑에 조그맣게 나와 확인을 할 수 있답니다.
요즘에는 개인정보 보안이 강화되고 중요한 만큼 주민등록번호 공개여부도 선택해주시고요.
주민등록번호를 꼭 공개해야한다는 기관이 아니면 비공개 하시면 됩니다.
신청사유도 선택하신 뒤 발급하기 또는 열람만 하실 분은 열람하기를 선택해주세요.
저는 발급을 할 것인데요
가족관계 증명서를 발급받아보았습니다.
이런식으로 나옵니다.
가족관계증명서를 일반으로 떼면 등록기준지와 본인의 본적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는 가족이 나옵니다.
함께보면 도움될 글
'직접 조사한 최고의 정보 > 생활 &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주 공영주차장 주차요금, 정기권, 무료 이용, 할인 및 감면 받기 (0) | 2021.05.01 |
---|---|
혼인신고 하는곳, 혼인신고서 다운로드, 작성 방법 팁, 증인, 비용 (0) | 2021.04.28 |
코로나 백신 접종 대상자 사전예약 하기(접종순서, 예약시기) (0) | 2021.04.26 |
제주여행 아름다운 한라산 예약방법, 탐방로 코스 추천 성판악, 관음사(+입산•하산 시간) (0) | 2021.04.25 |
아이허브 가입방법과 10% 할인코드 받기 (feat. 개인통관부호) (0) | 2021.04.24 |